본문 바로가기

새만금

환경과 미래 48호 환경과 미래 2003. 겨울 통권 48호 논 단 특 집 월례연구모임 책 이약기 돌아 보기 영화 이야기 책 소개 회원의 난 NGO와 한국의 미래 / 이은주------------ 수도권 공단지역의 환경문제에 한 고찰 / 조경두------------- 다이옥신에 대한 국내 환경의 오염 / 이동수--- 환경논쟁과 과학의 역할 -새만금 논쟁을 중심으로/조홍섭---------- 여성들이 돌아보는 여성과학자의 삶과 현대과학에 대한 성찰 / 김지형-------- 부안에서 밝힌 100일째 촛불기원 / 이수경---- 모노노케 히메(원령공주) / 양정화---------- 분노의 대지 / 박지혜 ----------------- 감기에 안걸리려면 / 조길상 ------------- 고구마 캐던날 / 서상순 -----------.. 더보기
환경과 미래 47호 환경과 미래 2003. 여름 통권 47호 배출량의 평가 / 이동수------------------- 1 논 단 특 집 새만금 앞으로 해법은 무엇인가? / 김정욱 ------ 5 새만금 갯벌과 삼보일배를 생각하며 / 이은주 ---- 9 새만금 사업 어떻게 풀 것인가? / 이상훈 ------ 15 새만금 삼보일배를 다녀와서 / 신옥란 -------- 23 녹색의 눈으로 세상보기 책 이야기 물은 더 이상 공짜가 아니다. 반다나시바의 “물전쟁” / 박지혜 --------------------------- 27 Footpath에서 동물이랑 나랑 거니는 자유 / 이수경 ------------------- 35 영화 이야기 에린브로코비치 / 양정화 ----------------- 43 회원의 난 환경커피운동 / 윤한.. 더보기
환경과 공해 32호 계간 〔환경과 공해〕 32호(1998.12) 환공연 소식 논단 - 외로운 넋두리 (강신도) 초청논단 - 불소화 문제의 진실 (김종철) 특집1 - 팔당 상수원 대책 1. 팔당 상수원 수질개선 대책(안) 요지 (곽결호) 2. 팔당 상수원과 그린벨트문제 발상을 바꾸자 (신창현) 3. 팔당 특별대책, 제대로 된 상수원대책을 세우자 (김상종) 특집2 - 그린벨트 대책 1. 그린벨트문제의 해결방향 (이정전) 2. 우리나라 그린벨트의 현황 및 실태 (염형민) 3. 그린벨트제도 개선의 접근방향 (최병선) 4. 개발제한구역제도 개선방안인가, 개악방안인가? (이현주) 책이야기 - 언 덕 (김지형) 환경동향 1.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운동의 입장과 실천방향 (서형원) 2. 새만금 간척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정연경) 월례연.. 더보기
대화와 타협도 환경운동이다 대화와 타협도 환경운동이다 신 창 현 (환경분쟁연구소 소장) 방조제를 막았다고 해서 새만금 문제가 끝난 것은 아니다. 그 동안 새만금 논쟁을 둘러싼 여러 가지 쟁점들이 있었지만 대법원이 판단한 것은 단지 공유수면(만경강과 동진강 갯벌) 매립(간척)면허의 취소에 관한 사항이다. 1심에서는 방조제를 막을 경우 수질오염이 심화돼 당초 매립목적인 농업용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해수유통에 따른 토지용도 변경 등 매립면허의 목적도 이에 따라 변경해야 한다고 공사 중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고 사실상 환경단체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2심에서는 새만금호의 수질이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매립면허를 취소할 특별한 사유가 없다고 판결하여 농림부의 손을 들어줬다. 대법원도 1심과 2심의 연장선에서 매립.. 더보기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의 진단과 계속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의 진단과 계속 주 용 기 새만금생명평화전북연대 공동집행위원장 지난 4월 21일 새만금 방조제 마지막 터진구간 2.7km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었다. 2년전이던 2003년 6월 9일, 4호 방조제 끝물막이 공사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몇몇 운동가들과 직접 현장 농성에 들어갔을 때 느꼈던 무력감을 다시 느꼈다. 2003년 7월부터 2년간 진행된 부안 반핵투쟁을 통해서 수많은 부안 군민들이 자연과 생명, 진정한 지역발전의 의미를 올바로 찾고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에도 활발히 나서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새만금사업과 핵폐기장 문제는 별개의 사건으로 받아들여져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은 환경단체와 민중단체, 지역 활동가와 어민들만이 참여하는 정도였다. 결국 대법원 재판에서 패소하였고, 설마 막히.. 더보기
새만금운동의 평가와 향후 전망 새만금운동의 평가와 향후 전망 명호, 장지영 (생태지평 연구소 연구원) 1. 새만금 운동의 총평가 우리 시대의 생명과 환경의 가치를 대변해 온 새만금갯벌 보전운동은 다양한 활동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과 전망을 전라북도와 함께 나누지 못해 결국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료라는 가장 우려하던 결과를 맞이하고 말았다. 새만금 문제를 둘러싼 논쟁과 대립은 이미 10여년을 훨씬 넘어섰다. 새만금은 우리사회의 환경문제를 대표하는 국가적인 사안이며 21세기 새로운 생명가치의 지렛대가 되었다. 왜 많은 국민들이 새만금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이는 단순히 특정지역의 갯벌보전이라는 현상을 뛰어 넘는 새만금을 통해 우리사회가 새로운 생명가치 문제를 어떻게 판단하고 결정하는가에 대한 관심이다. 새만금 간척사업은 한국사회의.. 더보기
새만금사업 계속해야 하는 사연, 중단해야 하는 이유 새만금 사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농림부)』에 대한 우리의 견해 새만금사업 계속해야 하는 사연, 중단해야 하는 이유 이수경 (사무처장) 1. 새만금사업은 왜 필요한가? 농림부는 새만금사업이 식량안보를 위한 쌀 생산을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농림부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도는 28.5%밖에 안되기 때문에 새만금을 간척해서 쌀을 생산할 농지를 만들어야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새만금에서 생산한다는 쌀은, 90년대 한 때만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100% 자급되는 거의 유일한 농작물입니다. 그나마 쌀의 자급도가 떨어지는 것은 농림부의 걱정대로 쌀을 생산할 땅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낮은 쌀 소득으로 논을 밭으로 전환하고 휴경논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식량안보는 농림부의 말처럼 중요합니다. 그러나 식량안보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