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생태

환경상식 톺아보기-유기농도 유기농 나름, 유기질 비료가 문제 인터넷한겨레 2015. 1. 20. 환경상식 톺아보기-유기농도 유기농 나름, 유기질 비료가 문제 유기농도 유기농 나름, 유기질 비료가 문제 제대로 처리 않은 유기질 비료에 중금속·항생제·병원체 포함될 가능성 덜 숙성된 거름은 식물 뿌리 해쳐, 유기질 비료도 과도하면 환경에 피해 » 옥상 텃밭은 도시 삶의 새로운 활력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안전하고 믿을 만한 퇴비를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사진=탁기형 기자 khtak@hani.co.kr 환경에 안전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친환경 농업 및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텃밭에서 유기농산물을 직접 기르거나 아예 귀농하는 사람도 늘어난다.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친환경농업 또는 유기농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을까. 이 농업의 핵심 요소인 유기질 비료.. 더보기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의 진단과 계속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의 진단과 계속 주 용 기 새만금생명평화전북연대 공동집행위원장 지난 4월 21일 새만금 방조제 마지막 터진구간 2.7km의 물막이 공사가 완료되었다. 2년전이던 2003년 6월 9일, 4호 방조제 끝물막이 공사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몇몇 운동가들과 직접 현장 농성에 들어갔을 때 느꼈던 무력감을 다시 느꼈다. 2003년 7월부터 2년간 진행된 부안 반핵투쟁을 통해서 수많은 부안 군민들이 자연과 생명, 진정한 지역발전의 의미를 올바로 찾고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에도 활발히 나서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새만금사업과 핵폐기장 문제는 별개의 사건으로 받아들여져 새만금갯벌 살리기 운동은 환경단체와 민중단체, 지역 활동가와 어민들만이 참여하는 정도였다. 결국 대법원 재판에서 패소하였고, 설마 막히.. 더보기
새만금운동의 평가와 향후 전망 새만금운동의 평가와 향후 전망 명호, 장지영 (생태지평 연구소 연구원) 1. 새만금 운동의 총평가 우리 시대의 생명과 환경의 가치를 대변해 온 새만금갯벌 보전운동은 다양한 활동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과 전망을 전라북도와 함께 나누지 못해 결국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료라는 가장 우려하던 결과를 맞이하고 말았다. 새만금 문제를 둘러싼 논쟁과 대립은 이미 10여년을 훨씬 넘어섰다. 새만금은 우리사회의 환경문제를 대표하는 국가적인 사안이며 21세기 새로운 생명가치의 지렛대가 되었다. 왜 많은 국민들이 새만금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이는 단순히 특정지역의 갯벌보전이라는 현상을 뛰어 넘는 새만금을 통해 우리사회가 새로운 생명가치 문제를 어떻게 판단하고 결정하는가에 대한 관심이다. 새만금 간척사업은 한국사회의.. 더보기
한반도 대운하 : 해서는 안 될 사업(2008) 한반도 대운하 : 해서는 안 될 사업 김 정 욱 (고문/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1. 한반도 대운하의 개요 이명박 대통령이 ‘국운융성의 길’이라면서 대통령의 핵심 공약사업으로 내건 ‘한반도 대운하’(그림 1)를 기어이 임기 안에 완공하겠다고 한다. 한반도 대운하는 원래 경부운하에서 시작되었는데 이 공약이 선거기간 중에 호남운하, 충청운하(그림 2)에다가 북한까지 연결하는 운하로 커져서 한반도 대운하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반도대운하의 홍보물을 보면 운하 변에 고층빌딩들이 들어서고 항구에는 배들이 들락날락하고 놀이시설들이 돌아가고 축제인양 알록달록한 풍선들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아름다운 그림들을 보이고 있다(그림 3). 이 공약이 발표되자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이를 환영하는 플래카드가 나붙고 서명운동을.. 더보기
수입식량의 식품안전성 문제와 대응 (2008) 수입식량의 식품안전성 문제와 대응 김 종 덕 (경남대 심리사회학부 교수) 1. 수입식량의 실태 우리나라의 곡물자급율은 25%, 쌀을 제외하면 곡물자급율이 5%에 지나지 않는다. 때문에 우리의 밥상에 오르는 먹을거리의 상당부분이 수입식량이다. 가공식품이나 외식을 포함하면,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에서 수입식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진다. 우리나라처럼 식량자급율이 낮아, 수입식량 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경우 수입식량의 질, 수입식량의 안전성 여부가 국민건강에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수입식량이 들어오게 된 것은 해방직후부터다. 미국의 식량원조로 미국의 잉여농산물이 많이 유입되었고, 1970년대 중반 개방농정이후 상업적 베이스로 많은 규모의 식량이 수입되고 있다. 더욱이 1995년 WTO체제 이후에는.. 더보기
물 속 벌레로 물의 맑기를 알아보는 법 환경과 공해연구회 더보기
서울시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자연생태교육장 더보기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생태 더보기
환경갈등과 구조적 요인과 해소방안 -환경법제를 중심으로 전재경 더보기
그린벨트 전면 해제와 시민운동의 대응 이현주 더보기